카테고리 없음

데이터 입력과 처리, 출력 (4일차 수업 필기)

Luis. 2022. 2. 23.

파이썬 데이터 입력과 처리, 출력, 연산자, 리스트 목차

 

1. 입력 -> 처리 -> 출력

2. 데이터 (변수)

3. 연산자

4. 제어문 (순차문, 조건문, 반복문)

5. 데이터2 (리스트, 딕셔너리)

 

예시 문제 풀이

# 1. 아이디와 이름을 입력받아 프린트

# 아이디가 root인 홍길동님이 로그인되었습니다.

# id1 = 'root'

# name1 = '홍길동'

#

# id2 = input('아이디? ')

# name2 = input('이름? ')

#

# if (id1 == id2 and name1 == name2):

# print('홍길동 님이 로그인되었습니다')

# 2. 두 수를 입력받아서 4칙연산을 하여 프린트

# 숫자1 : 33

# 숫자2: 7

#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# 두 수의 합은 40

# 두 수의 차는

# 두 수의 곱은

# 두 수의 나눗셈은

# num1 = input('숫자1을 입력하세요. ')

# num2 = input('숫자2를 입력하세요. ')

#

# num11 = int(num1)

# num22 = int(num2)

#

# print('-------------------')

# print('두 수의 합은 ', num11 + num22)

# print('두 수의 차는 ', num11 - num22)

# print('두 수의 곱은 ', num11 * num22)

# print('두 수의 나눗셈은 ', num11 / num22)

# 3. 이름과 현재 나이를 입력 받아서 다음과 같이 프린트

# 홍길동님의 10년 후 의 나이는 110세 입니다.

name3 = input('이름? ')

age3 = input ('나이? ')

age33 = int(age3) + 10

from tkinter import messagebox

messagebox.showinfo('두둥', '홍길동 님의 10년 후 나이는' + str(age33) + '세 입니다.')

# 4. 다음과 같이 판별 되도록 프린트 (10000원 기준)

엄마 용돈 주세요: 15000(입력)

-> 엄마 너무 용돈이 많아요.

엄마 용돈 주세요: 8000 (입력)

-> 엄마 너무 용돈이 적어요.

money = input('엄마 용돈 주세요: ')

if int(money) >= 15000:

print('엄마 너무 용돈이 많아요.')

elif int(money) <= 8000:

print('엄마 너무 용돈이 적어요.')

else:

print('엄마 너무 용돈이 적당해요')

# 5. 숫자를 입력하여 짝 홀수를 판단해보세요.

num5 = int(input('숫자를 입력하세요. '))

if num5 % 2 == 0:

print("짝수입니다.")

elif num5 % 2 == 1:

print("홀수입니다.")

else:

print('0입니다')

# 6

score = int(input('당신의 실적을 입력하세요! '))

bonus = str(int(score*1.2)) + '만원'

if score >= 1000:

print('축하합니다! 실적을 달성하셨습니다!')

print('당신의 이번달 보너스는 ' + bonus + ' 입니다.')

else:

print("분발하세요ㅡㅡ")

# 7

missile = input('미사일 이름은? ')

start = input('미사일 시작 값은? ')

km = input('미사일이 움직이는 값은? ')

move = float(start) + float(km)

print('-----------------------------')

print('슛 미사일이 ', move,'로 이동되었습니다')

# 8

pay = int(input('금액을 지불하세요. '))

item = 7500

change = pay - item

tax = item * 0.1

print('-----------영수증-----------')

print('받은 돈', str(pay))

print('상품 금액', str(item))

print('부가세', str(int(tax)))

print('거스름 돈', str(change))

# 9

for x in range(0,100):

for y in range(0,10):

print('★', end=" ")

print()

# 10

for x in range(1,21):

print(x)

for y in range(1,21):

print(y, end=" ")

# 11

for x in range (2, 51, 2):

print(x)

# 12

count = 0

for z in range (1,1001):

if z % 3 == 0:

count = count + 1

else:

pass

print(count)

# 13

while True:

data = input('먹고 싶은 음식 (종료: x): ')

if data == 'x' or 'X':

print('종료합니다')

break

# 14

food = ['치킨', '떡볶이', '피자', '소고기', '갈비']

print(food)

print(food[0], food[-1])

print(food[2])

print(food[2:5])

# 15

portal = []

portal.append('네이버')

portal.append('카카오')

portal.append('구글')

portal.append('링크드인')

print(portal)

# 16

score = []

sum = 0

i = 0

while i < 3:

data = input('학기 총점: ')

score.append(int(data))

sum = sum + score[i]

i = i + 1

print('---------------------')

print('총학기 평균은 ', sum / i, '입니다.')

# 17

while True:

data = int(input('정답을 입력하시오: '))

if data == 77:

print('정답입니다.')

break

else:

print('정답이 아닙니다')

if data < 88:

print('너무 작아요')

if data > 88:

print('너무 커용')

# 18

deposit = int(input('입금액을 입력하세요>> '))

interest = float(input('이자율을 입력하세요>> '))

print('-------------------')

print('1년 후 받게 될 금액은: ', int(deposit*(1+interest)), '입니다')

# 19

info = {'이름':'이주엽', '나이':'30', '혈액형':'O형', '키':'173cm', '몸무게':'75kg'}

print(info.get('몸무게'))

# 20

place = []

i = 0

while i < 5:

data = input('가장 좋아하는 장소는? ')

place.append(data)

i = i + 1

print(place)

print(len(place))

for x in range(0,len(place)): #0~4이고, (0,5)

if place[x] == '강남':

del(place[x])

break #브레이크 안쓰면 중간에 x가 비어버려서 문제가 생김

print(place)

for y in range(0,len(place)): #0~3이고, length 4

if place[y] == '제주도':

place[y] = '제주시'

print(place)

for z in range (0,len(place)):

print(str(z+1) + '위: ', place[z])

print(0 in range(0, 5)) # 읽기 전용 목록인 튜플임을 증명

for x in range(0, 5):

pass

# 20-1

location = []

for x in range(0,5): #0,1,2,3,4

location.append(input('장소: '))

print(location)

# 20-2

if '강남' in location:

print('강남있음.')

#인덱스가 필요!

index = location.index('강남')

#인덱스를 가지고 del

del location[index]

print(location)

#or

for x in range(0, len(location)):

if(location[x] == '강남')

del location[x] #파괴함수

print('강남을 삭제했습니다')

break

# 20-3

import math

name = '홍길동'

age = 100.222

print(int(age))

print(math.floor(age)) #floor 버림

print(round(age, 1)) #round 반올림

print('나의 이름은 %s이다' %(name)) #%s는 스트링. 이 자리에 들어올거야

print('나의 이름은 %s이고 나이는 %d' %(name,age)) # %d는 십진수

print('나의 이름은 {0}이고 나이는 {1:0.1f}'.format(name, age))

#{0}는 index부여, 0.1f는 소수 첫째자리까지. # 0번, 1번 , f는 실수 float. #괄호 숫자로 입력 순서 지정

import random

target = random.randint(1, 100) #1~100 중 하나를 생성

count = 0 #초기화 변수는 반복문 안에 넣으면 안된다

while True:

count = count + 1

data = int(input('정답을 입력하시오: '))

if data == target:

print('정답입니다.')

print('당신의 시도 횟수: ', count, '회')

break

else:

print('정답이 아닙니다')

if data < target:

print('너무 작아요')

if data > target:

print('너무 커용')

import random

jumsu = []

random.seed(20) #난수 값 안바뀌게 고정?

for x in range (0,10):

jumsu.append(random.randint(1, 10))

print(jumsu)

count = jumsu.count(516) # 리스트 안에 516이 몇 개나 들어있는가

print(count)

count2 = 0

for x in jumsu:

if x == 5:

count2 = count2 + 1

print(count2)

for x in range(0, len(jumsu)):

if jumsu[x] == 5: # 455가 들어가는 위치, 인덱스값

print('위치는: ', x)

import random

roddo = []

count = 0

while True:

value = int(random.randint(1, 45))

print("값:",value)

if value in roddo:

print('중복.')

continue

roddo.append(value)

print(len(roddo))

if 6 <= len(roddo) : break

print(roddo)

# 가위바위보 게임

import random

while True:

me = input("무엇을 내시겠습니까? (종료는 x) ")

com = random.choice(['가위', '바위', '보'])

print('컴퓨터 왈:', com)

if me == com:

print('비겼습니다')

elif (me == '가위' and com == '보') or (me == "바위" and com == '가위') or (me == '보' and com =='바위'):

print('이겼습니다!!!')

elif me == 'x' or me == 'X': # me in ['x','X']

print('게임을 종료합니다')

break

else:

print('졌습니다ㅠㅠ')

반응형

댓글

💲 추천 글